개인파산법무법인에 대한 11가지 사실들

한국신용평가가 신세계프라퍼티의 시장지위와 수익창출력을 높게 평가하면서도 신규 출점 등 대덩치 투자로 재무부담이 확대되고 있다는 점을 경계했다.

30일 한국신용평가(한신평)는 신세계프라퍼티(프라퍼티)의 기업어음 신용등급을 ‘A2+로 부여했다. 이는 금융채무 상환가능성이 좋은 단계다. 

프라퍼티는 이마트가 지분 300%를 보유한 복합쇼핑몰 개발 및 임대산업자 업체다. 연면적 48만9517㎡(약 12만평) 크기의 스타필드 하남을 필두로 복합쇼핑몰 업태 내 선도적인 브랜드 이해도를 구축했다는 평을 받는다. 프라퍼티는 지난 2013년 스타필드 하남을 실시으로, 코엑스몰, 고양, 안성 등 총 2개의 복합쇼핑몰 점포를 관리하고 있다.

프라퍼티는 신세계(004170)와 이마트(139480)로 연결된 그룹의 사업기반이 가장 큰 강점이다. 백화점, 대형마트, 슈퍼, 편의점 등 높은 시장지위를 갖는 신세계그룹의 전폭적인 지원 등은 지금까지 개인회생법무법인 프라퍼티 신용도에 긍정적으로 작용해 왔다.

그러나 작년 들이닥친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로 접속자 수가 감소하는 등 전반적으로 실적이 상승한 상황에서 투자가 확대되다 보니 재무부담이 많아진 점은 우려 요인으로 꼽힌다.

실제 프라퍼티 영업이익은 지난 2015년 101억원으로 흑자전환과 다같이 2011년 137억원 최고실적을 기록한 뒤 지난해 코로나 여파로 다시 순손실 26억원을 입었다. 같은 시간 영업이익률 역시 지난 2014년 6.3%에서 2012년 6.8% 전년는 –1.8%로 떨어졌다. 차입금의존도는 1.5% → 31.3% → 28.7% 수준이다. 아직 건전성 기준으로 불리는 40%이하라는 점에서 부정적 레벨은 아니지만 이전에 비해 올라간 상황다.

현재까지 프라퍼티는 투자돈 주로을 이마트의 유상증자를 통해 충당해왔다. 지난해 말 누적 기준 이마트·신세계 유상증자 규모는 8조2670억원에 달한다. 이 공정에서 업황 악화, 투자확대 등의 이유로 모회사 곳간이 여의치 않자 덩달아 프라퍼티도 돈 조달과 관련해 비상등이 켜진 상태다. 프라퍼티는 지난 9년 동안 스타필드 창원, 스타필드수원 증자 등으로 약 7700억원의 자금이 필요했지만 이마트로부터의 증자 대금은 약 4000억원에 그쳤다.

image

투자는 현재진행형이다. 프라퍼티는 스타필드 뿐만 아니라 강남 오피스 상업시설 건설(캡스톤 펀드), 올해 화성 테마파크 부지매입, 동서울 상업지구 개발(PFV) 등 그룹 내 중요도가 높은 다수의 개발산업을 추진하면서 자금부담이 가중되고 있다. 복합적인 투자 확대 등으로 연결기준(스타필드하남˙안성 포함) 순차입금 규모는 2013년 말 2175억원에서 지난해 말 2조4694억원(리스부채 5211억원 포함)으로 증가했다.

한국신용평가 한태일 연구원은 “향후에도 스타필드 수원, 청라, 창원, 동서울의 https://en.search.wordpress.com/?src=organic&q=기업파산 출점이 계획되어 있는 가운데 계열로부터의 증자가 과거 수준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됨에 주순해 차입부담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”라고 이야기했다.